본문 바로가기

network7

네트워크 트러블슈팅이란? – 통신 문제를 진단하는 실무 기술의 시작 | 암기 필수 네트워크 진단방법과 진단 흐름 예시 | 오류상황별 체크사항 들어가며웹 서비스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API 요청이 실패하고, 서버 간 연결이 되지 않는 상황을 겪어본 적 있으신가요?이럴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네트워크 트러블슈팅(Network Troubleshooting)**입니다.트러블슈팅은 네트워크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입니다.이 글에서는 네트워크 트러블슈팅의 핵심 개념과 필수 도구들,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분석 방법을 소개하며 📂 Network / Network Troubleshooting (Debugging) 카테고리의 시작을 열겠습니다. 왜 네트워크 트러블슈팅이 중요한가?상황예시트러블슈팅 필요 이유API 요청 실패504 Gateway Timeout어디서 지연되는지 파악 필요서버 간 통신 불가DB 연결 오류, Redi.. 2025. 4. 10.
프록시와 로드밸런싱이란? – 트래픽 흐름을 설계하는 첫 걸음 | 프록시 로드밸런싱 의미 차이점 | 실무 적용예시 들어가며서비스의 트래픽이 늘어나고, 여러 대의 서버를 운영하거나 외부 API를 호출하는 구조가 되면, 우리는 반드시 **프록시(Proxy)**와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이라는 개념과 마주하게 됩니다.이 글에서는 프록시와 로드밸런싱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인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는지 소개하며 📂 Network / Proxy & Load Balancing 카테고리의 첫 시작을 열겠습니다. 프록시(Proxy)란?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실제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중간에서 요청을 대신 전달하거나 응답을 캐싱하거나 필터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종류종류설명예시정방향 프록시내부 → 외부로 요청을 보낼 때 중간에 위치기업 방화벽, 캐시 서버역방.. 2025. 4. 10.
네트워크 보안이란 무엇인가 – SSL, CORS, CSRF의 시작점 | 통신 보안의 원리와 위험요소들 들어가며현대 웹 애플리케이션과 API 시스템은 모두 네트워크 위에서 동작합니다.그리고 이 통신 과정은 늘 위조, 도청, 스니핑, 위협 요소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첫걸음이 바로 **네트워크 보안(Network Security)**입니다.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가장 자주 마주치는 세 가지 개념, SSL(HTTPS), CORS, CSRF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보안의 기초를 소개하며 📂 Network / Network Security 카테고리의 시작을 열겠습니다.왜 네트워크 보안이 필요한가?위험 요소설명도청 (Sniffing)통신 중간에 데이터를 가로채 읽는 행위위조 (Spoofing)신뢰할 수 있는 것처럼 가장한 접근 시도세션 탈취로그인 세션 쿠키를 훔쳐 사용자로 위.. 2025. 4. 10.
TCP/IP와 OSI 7계층이란 무엇인가 – 네트워크의 기초를 다지는 첫걸음 | 현실모델과 이상적계층모델 들어가며웹 개발, 서버 운영, API 설계, 클라우드 인프라 등 어떤 분야든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 개념은 반드시 필요합니다.그중에서도 TCP/IP 모델과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의 구조와 흐름을 이해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모델입니다.이 글에서는 TCP/IP와 OSI 7계층의 개념, 계층별 역할, 실제 예시를 통해 개발자와 인프라 엔지니어가 반드시 알아야 할 네트워크 통신 구조의 기초를 소개하겠습니다.TCP/IP 모델과 OSI 모델이란?🔸 TCP/IP 모델 (현실 기반)인터넷에서 실제 사용되는 네트워크 통신 구조의 모델4계층 구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인터넷 - 전송 - 응용🔸 OSI 7계층 모델 (교육/이론 기반)ISO(국제표준화기구)가 정의한 네트워크 통신의 이상적인 계층 모델7계층 구.. 2025. 4. 10.
클라우드 네트워킹이란? – VPC, 서브넷, 보안 설정의 개념과 구조 이해하기 | 클라우드의 인스턴스 이해 기반 네트워크 설계의 기본단위 | 실제구성예시 들어가며클라우드 환경에서 인스턴스 하나 띄우는 것만으로는 실무 시스템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그 인스턴스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어떤 트래픽을 받을 수 있는지, 어떤 IP 체계를 따르고 있는지 등 네트워크 설계가 기반이 되어야 합니다.이러한 클라우드 네트워크 설계의 기본 단위가 바로 VPC, Subnet, Route Table, 보안 그룹, ACL입니다.이 글에서는 AWS를 중심으로 하되, GCP, Azure 등 모든 클라우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개념들을 바탕으로 📂 Network / Cloud Networking 카테고리의 시작을 열겠습니다.VPC란?**VPC(Virtual Private Cloud)**는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 사용자만의 네트워크 공간을 분리한 것입니다.마치 클라우드 안에 .. 2025. 4. 9.
소켓 통신이란 무엇인가 – TCP/IP의 진짜 동작 방식 이해하기 | 소켓종류와 통신흐름 | 소켓통신 언제 쓰는지 들어가며개발자가 실시간 데이터 전송, 장비 연동, 서버 간 통신, 채팅 시스템 등을 구현할 때 반드시 만나게 되는 개념이 있습니다.바로 **소켓(Socket)**입니다.소켓은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세스 간 통신(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의 한 형태이며, TCP/IP 기반 통신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이 글에서는 소켓 통신의 개념, 구조, TCP와 UDP의 차이, 서버-클라이언트 간 동작 흐름을 살펴보며 📂 Network / Socket Communication 카테고리의 출발점을 마련하겠습니다.소켓(Socket)이란?소켓은 **네트워크 연결의 끝점(endpoint)**입니다.즉, 두 컴퓨터 간 통신을 위해 서로 연결되.. 2025.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