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work_library38 🌳 Composition API vs Options API - 무엇을 언제 써야 할까? 🌳 Composition API vs Options API - 무엇을 언제 써야 할까?Vue 고급 시리즈 > 7️⃣ 고급 주제 및 최적화 > Composition API vs Options API 비교1. 두 API 방식의 차이는?2. 문법 차이와 구조 비교3. 언제 Composition API를 선택할까?4. 두 방식을 혼용해도 될까?5. 타입스크립트와의 궁합6. 선택 기준 요약🔚 다음 글 안내1. Composition API vs Options API란?Vue는 오랫동안 Options API(data, methods, computed 등으로 구성된 방식)를 사용해왔습니다.Vue 3에서는 Composition API가 추가되어 기능별 코드 재사용성과 가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2. .. 2025. 5. 5. 🌳 Vue의 Teleport로 모달 시스템 우아하게 구성하기 🌳 Vue의 Teleport로 모달 시스템 우아하게 구성하기Vue 고급 시리즈 > 7️⃣ 고급 주제 및 최적화 > Teleport를 활용한 모달 시스템 구성1. Teleport란?2. 왜 필요한가? (기존 구조의 한계)3. 기본 사용법4. Teleport로 모달 구현하기5. 스타일 충돌 방지 및 포지셔닝 팁6. 실전 예제: 공통 모달 Teleport 구조7. 팁과 주의사항🔚 다음 글 안내 1. Teleport란?Teleport는 Vue 3에서 새로 도입된 기능으로, 컴포넌트의 실제 DOM 렌더링 위치를 지정된 노드로 전송해주는 기능입니다. 마치 순간이동(Teleport)처럼, 외부에 DOM을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2. 왜 필요한가?모달, 툴팁, 드롭다운 등은 종종 루트 노드 외부에서 렌더링되어야 레.. 2025. 5. 5. 🌳 Vue의 <keep-alive>와 캐싱 전략 완전정복 🌳 Vue의 와 캐싱 전략 완전정복Vue 고급 시리즈 > 7️⃣ 고급 주제 및 최적화 > keep-alive와 캐싱 전략1. 란?2. 기본 사용법 및 예제3. include / exclude / max 옵션4. activated / deactivated 훅5. 탭 구조에서 캐싱 적용 예제6. 주의사항 및 실전 전략🔚 다음 글 안내1. 란?는 Vue 내장 컴포넌트로, 컴포넌트를 메모리에 유지하여 다시 방문할 때 초기화되지 않고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해줍니다.즉, 화면 전환 시 컴포넌트를 "언마운트"하지 않고, 비활성 상태로 두는 캐시 방식입니다. (created()나 mounted()가 재실행되지 않게 함)탭 UI에서 컴포넌트 전환 시 이전 상태 유지리스트/폼 화면 전환 시 스크롤 위치, 입력값 유지라.. 2025. 5. 5. 🌳Vue Suspense와 defineAsyncComponent - API 로딩 대기와 에러 핸들링 집중 탐구 🌳 Vue Suspense와 defineAsyncComponent - API 로딩 대기와 에러 핸들링 집중 탐구Vue 고급 주제 > 7️⃣ 고급 주제 및 최적화 > Suspense와 defineAsyncComponent 활용1. 왜 비동기 컴포넌트 로딩이 필요한가?2. defineAsyncComponent 기초3. 로 API 로딩 대기 처리하기4. API 에러 핸들링 전략5. 실무 팁 & 주의사항🔚 다음 글 안내1. 왜 비동기 컴포넌트 로딩이 필요한가?Vue 컴포넌트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트 시작 시 모두 로딩됩니다. 지연 로딩 (Lazy Loading)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성능 개선에 효과적입니다:무거운 컴포넌트 또는 외부 API 호출이 동반될 경우 첫 페이지 렌더링 속도가 중요한 경우비동기 API.. 2025. 5. 5. 📌 글로벌 컴포넌트 등록 전략 📌 글로벌 컴포넌트 등록 전략Vue 실무 구성 요소와 유틸 > 글로벌 컴포넌트 등록 전략 1. 왜 글로벌 컴포넌트 등록이 필요한가? 2. 수동 글로벌 등록 방법 3. 자동 등록 방식 (vite + import.meta.glob) 4. 등록 전략: 언제 글로벌로? 언제 지역으로? 5. 실전 팁 및 유지보수 전략 🔚 마무리 & 다음 글 안내1. 왜 글로벌 컴포넌트 등록이 필요한가?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버튼, 모달, 테이블 같은 공통 컴포넌트를 여러 곳에서 재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매번 import + components 등록을 하면 반복적이고 비효율적이죠. 글로벌 등록을 하면? → 모든 컴포넌트에서 별도 등록 없이 바로 사용 가능!예: 공통 Button 컴포넌트 , 공통 Dialog 컴.. 2025. 5. 5. 📌 커스텀 디렉티브 만들기 (v-focus, v-mask 등) 📌 커스텀 디렉티브 만들기 (v-focus, v-mask 등)Vue 실무 구성 요소와 유틸 > 커스텀 디렉티브 만들기 1. 디렉티브란? 2. v-focus 예제 – 포커스 자동 지정 3. v-mask 예제 – 입력 마스킹 4. 디렉티브 라이프사이클 훅 5. 전역 등록 vs 지역 등록 6. 실전 팁 & 주의사항 🔚 마무리 & 다음 글 안내1. 디렉티브란? Vue 디렉티브는 HTML 요소에 v- 접두사를 붙여 특정 DOM 동작을 지시하는 특별한 속성입니다. 기본적으로 v-if, v-for, v-model, v-bind 등이 존재하지만, 개발자는 직접 커스텀 디렉티브를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2. v-focus – 포커스 자동 지정입력창 진입 시 자동으로 focus가 가도록 하는 디렉티브입니.. 2025. 5. 5.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