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_cicd3 ELK + Slack이란 무엇인가 – 로그 모니터링과 실시간 알림을 하나로 |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들어가며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 운영에서 로그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실시간 모니터링과 이상 탐지의 핵심 도구입니다.ELK Stack은 로그를 수집, 저장, 분석, 시각화하는 강력한 오픈소스 솔루션이며, 여기에 Slack을 연동하면 운영 이슈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경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ELK와 Slack을 연동해 실무에서 어떻게 실시간 운영 인사이트와 자동화된 경고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지 개념적으로 소개하면서 ELK + Slack 카테고리의 시작을 열겠습니다.ELK Stack이란?ELK는 다음 세 가지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약자입니다:Elasticsearch: 실시간 검색과 분석이 가능한 분산형 데이터베이스Logstash: 로그 수집 및 변환 파이프라인 도구Kiba.. 2025. 4. 9. GitHub Actions란 무엇인가 – 코드 저장소에서 바로 실행되는 자동화 파이프라인 | 깃허브 이벤트로 트리거링되는 액션처리 들어가며GitHub Actions는 GitHub에서 직접 제공하는 CI/CD 자동화 도구입니다.별도의 서버 없이도 코드 저장소 내부에서 직접 워크플로우를 정의하고 실행할 수 있어, 깃허브 중심의 개발 흐름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에게 매우 유연하고 직관적인 CI/CD 환경을 제공합니다.이 글에서는 GitHub Actions의 개념, 구성 방식, Jenkins 등과의 차이, 그리고 실무에서의 활용 사례까지 소개하며 GitHub Actions 카테고리의 첫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GitHub Actions란?GitHub Actions는 GitHub 저장소에 push, PR 등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워크플로우 기반 CI/CD 도구입니다.코드 저장소에 .github/workflows/*... 2025. 4. 9. Jenkins란 무엇인가 – CI/CD 자동화를 위한 오픈소스 핵심 도구 | 오픈소스 자동화서버 들어가며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과 **지속적인 배포(Continuous Delivery/Deployment, CD)**는 빠르고 안정적인 개발 사이클을 위해 필수적인 흐름입니다.이러한 자동화 흐름의 중심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가 바로 **Jenkins(젠킨스)**입니다.이 글에서는 Jenkins의 개념, 주요 구성 요소, 실무에서의 활용 방법, 그리고 다른 CI 도구와의 비교까지 정리하며 Jenkins 카테고리의 첫 시작을 열어보겠습니다.Jenkins란?Jenkins는 Java 기반의 오픈소스 자동화 서버로, 주로 소프트웨어 빌드, 테스트, 배포를 자동화하는 데 사용됩니다.2004년 Hudson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 2025. 4.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