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proxy_loadbalancing

프록시와 로드밸런싱이란? – 트래픽 흐름을 설계하는 첫 걸음 | 프록시 로드밸런싱 의미 차이점 | 실무 적용예시

by 죄니안죄니 2025. 4. 10.

들어가며

서비스의 트래픽이 늘어나고, 여러 대의 서버를 운영하거나 외부 API를 호출하는 구조가 되면, 우리는 반드시 **프록시(Proxy)**와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이라는 개념과 마주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프록시와 로드밸런싱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인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는지 소개하며 📂 Network / Proxy & Load Balancing 카테고리의 첫 시작을 열겠습니다.



 

프록시(Proxy)란?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실제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중간에서 요청을 대신 전달하거나 응답을 캐싱하거나 필터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 대표적인 종류

종류설명예시

정방향 프록시 내부 → 외부로 요청을 보낼 때 중간에 위치 기업 방화벽, 캐시 서버
역방향 프록시 외부 → 내부 요청을 중간에서 받아 처리 Nginx, API Gateway

🔸 왜 사용하는가?

  • 클라이언트 IP 숨기기 (보안 목적)
  • 캐싱으로 응답 속도 개선
  • 필터링, 인증, SSL 처리
  • 백엔드 서버 보호 및 분산

역방향 프록시는 웹 개발자에게 더 익숙한 구조입니다 (예: Nginx로 백엔드 프록시 처리)



 

로드밸런싱이란?

로드밸런서는 들어오는 요청을 여러 서버로 고르게 분산시켜,
과부하를 방지하고, 가용성과 성능을 높이는 구조입니다.

🔹 주로 사용하는 계층

계층 방식 설명
L4 (전송 계층) IP/Port 기반 TCP/UDP 수준에서 분산, 빠름
L7 (애플리케이션 계층) URL/헤더 기반 요청 내용 분석, 유연한 라우팅 가능

🔸 분산 알고리즘 종류

방식 설명
Round Robin 순차적으로 서버에 분산
Least Connection 연결 수가 가장 적은 서버에 분산
IP Hash 클라이언트 IP 기준으로 고정 분배 (세션 유지에 유리)

실제로는 L7 로드밸서가 Nginx, HAProxy, AWS ALB 등으로 많이 쓰입니다.



 

실무에서의 적용 예시

  • Nginx에서 /api 요청을 백엔드로 프록시하고 정적 파일은 자체 서빙
  • Kubernetes에서 서비스(LoadBalancer 타입)를 통해 파드 간 분산 처리
  • API Gateway를 통해 인증, 라우팅, 트래픽 제어 통합 관리
  • AWS ALB로 마이크로서비스 트래픽 분산 및 URI 기반 라우팅


 

프록시 vs 로드밸런서 – 차이점 정리

항목 프록시 로드밸런서
위치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앞단 서버 앞단 (클라이언트 투명)
목적 요청 전달/변환/캐싱/보안 부하 분산, 트래픽 안정화
관점 네트워크 전반 또는 요청 단위 처리 백엔드 서비스 전체 부하 관리

많은 경우, 로드밸서도 프록시 역할을 합니다. (ex: Nginx는 로드밸서 + 프록시 둘 다 역할 수행)


마치며 – 앞으로 다룰 주제들

📂 Network / Proxy & Load Balancing 카테고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다룰 예정입니다:

  • Nginx를 이용한 리버스 프록시 설정 예시
  • L4 vs L7 로드밸서 구조와 선택 기준
  • API Gateway vs Reverse Proxy 차이
  • Kubernetes Ingress vs LoadBalancer 구조 비교
  • AWS ALB, NLB, CloudFront 차이점

트래픽을 어떻게 흐르게 할 것인가는, 곧 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을 좌우합니다. 프록시와 로드밸싱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나아가는 첫걸음입니다.

 

 


📌 
다음 글 미리보기
👉 Nginx를 이용한 리버스 프록시 설정 예시

📚 Proxy_LoadBalancing 시리즈 전체 보기
👉 

https://jobreview.tistory.com/category/network/proxy_loadbalancin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