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AWS(Amazon Web Services)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입니다.
스타트업부터 대기업, 공공기관까지 다양한 조직이 AWS를 통해 서버,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머신러닝, 보안, 모니터링 등 IT 인프라 전반을 유연하게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WS의 기본 개념과 서비스 구조, 주요 사용 이유를 정리하고, 앞으로 이 블로그에서 다룰 AWS 관련 주제들을 소개하면서 AWS 카테고리의 첫 시작을 열어보겠습니다.

AWS란?
AWS는 아마존(Amazon)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IT 인프라 서비스입니다.
2006년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현재는 수백 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주요 특징
- 필요한 만큼만 사용(Pay-as-you-go):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
- 빠른 확장성(Scalability): 몇 분 만에 수백 대의 서버 확장 가능
- 글로벌 인프라: 전 세계 수십 개 리전(Region)과 가용 영역(AZ)을 보유
- 보안과 신뢰성: 대기업 및 정부 기관도 사용하는 수준의 보안 체계
AWS의 주요 서비스 분류
1. 컴퓨팅
- EC2 (Elastic Compute Cloud): 가상 서버 (인스턴스) 서비스
- Lambda: 서버리스(Serverless) 컴퓨팅
- ECS/EKS: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Docker, Kubernetes)
2. 스토리지
- S3 (Simple Storage Service): 객체 기반 스토리지
- EBS (Elastic Block Store): EC2에 붙이는 디스크 볼륨
- Glacier: 장기 보관용 저비용 스토리지
3. 데이터베이스
- RDS: 관리형 관계형 DB (MySQL, PostgreSQL, Oracle 등)
- DynamoDB: 완전 관리형 NoSQL 서비스
- Aurora: MySQL/PostgreSQL 호환 고성능 DB
4. 네트워킹
- VPC (Virtual Private Cloud): 격리된 네트워크 환경 구성
- Route 53: 도메인 관리 및 DNS 라우팅
- CloudFront: 글로벌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 (CDN)
5. 기타
- IAM: 사용자 및 권한 관리
- CloudWatch: 모니터링 및 로그 수집
- SNS/SQS: 메시징 서비스
왜 AWS를 사용할까?
항목이유
초기 비용 절감 | 서버, DB 구매 없이 바로 사용 가능 |
확장성과 유연성 | 트래픽에 따라 자동 확장/축소 가능 |
안정성 | SLA 99.99% 이상, 장애 복구 기능 탑재 |
글로벌 인프라 | 한국 포함 다양한 지역 리전 활용 가능 |
다양한 관리형 서비스 | 백업, 로드밸런싱, 인증, 보안 등 내장 제공 |
실무 활용 예시
- 스타트업 MVP(최소 기능 제품) 구축 및 빠른 배포
- 기업 내 ERP/CRM 시스템 클라우드 이전
- 서버리스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설계
- S3 + CloudFront로 정적 웹사이트 배포
- RDS + EC2로 전통적인 웹 서비스 구조 구성
- Auto Scaling + ELB로 고가용성 시스템 구성
마치며 – 앞으로 다룰 AWS 주제들
AWS는 단순한 서버 호스팅을 넘어, IT 인프라 전반을 클라우드에서 운영하는 시대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다음과 같은 AWS 주제를 다룰 예정입니다:
- AWS 계정 생성 및 기본 아키텍처 구성
- EC2 인스턴스 생성 및 SSH 접속
- S3 버킷 생성과 정적 웹사이트 배포
- RDS + MySQL 연결과 보안 그룹 설정
- Lambda를 이용한 서버리스 API 구축
- IAM을 통한 권한 설계 및 보안 모범 사례
- CloudWatch 및 로그 모니터링 실전 구성
AWS 입문자부터 실무 담당자까지,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클라우드 실전 글을 연재해보겠습니다.
지금부터 AWS의 세계로 함께 출발해 봅시다!
📌 다음 글 미리보기
👉 AWS 계정 생성 및 기본 아키텍처 구성
📚 Java 시리즈 전체 보기
👉 https://jobreview.tistory.com/category/platform_infra_cloud/aws
댓글